전체
0과 1밖에 모르는 CPU
앞서 0과 1밖에 모르는 컴퓨터에 대해 얘기를 했었는데 정확하게 말하면 0과 1밖에 모르는 것은 CPU입니다. 그렇다면 왜 CPU는 왜 0과 1밖에 모르는 걸까요?이에 대해 이해하려면 먼저 기존의 뜬구름 잡는 듯한 논리적인 관점에서의 0과 1에서 벗어나 물리적인 0과 1의 의미를 알아야 합니다. CPU는 반도체 소재로 만들어집니다. 반도체는 무엇인가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은 도체라고 하며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은 부도체라고 하는데요. 반도체란 특정 조건에서는 전기가 잘 통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전기가 통하지 않는 성질을 지닌 물질을 말합니다. 여기서 전기를 통하는 것을 전압이 인가된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논리 회로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AND 논리 회로의 경우 입력 단자..
쉽게 풀어보는 프로그래밍 주요 개념잡기
안녕하세요? 피터입니다. 오늘은 프로그래밍 세계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에 대한 개념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흔히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른다고 말하는 것을 들어봤을 겁니다. 이게 무슨 말일까요?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에서는 사람과 사람이 의사소통하는데 있어서 한국어라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한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컴퓨터의 세계에서는 사람과 기계가 의사소통하는데 있어서 기계어(machine language)라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기계어는 0과 1로 조합된 명령어(instruction)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하려면 한국어를 알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컴퓨터와 의사소통을 하려면 기계어를 알아야 할까요? 아주 오래 전에는 그랬었..
Moley의 요리하는 로봇
오늘은 조금 특별한 로봇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바로 Moley 사의 요리하는 로봇입니다. 이렇게 레시피를 선택하면...! ( 스파게티.. 저도 참 좋아하는데요 :P )바로 로봇이 재료들을 셋팅하고 요리를 시작합니다.면도 삶고 소스도 볶고... 난이도 있는 요리도 척척 하는 로봇 요리가 다 되면 들고 가서 생색을 내줍시다. 이 녀석에게 나만의 자신있는 요리를 가르쳐볼까요? 요리하는 모습을 그대로 지켜보며 녹화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가르쳐준 레시피를 업로드 하면... 다른 사람과 공유가 가능합니다.누군가에게 보내는 중...! 그 누군가는 바로 여자친구 였습니다. 남친이 보내준 레시피로 로봇이 요리하는걸 흐믓하게 바라보는 중... 그런데 초인종이 울리네요...? 남자친구가 요리하는 동안 꽃을 사 가지고 왔습..
![[C++] map vs hash_map(unordered_map)](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Uxa1s%2Fbtqzs7xXWI0%2FfkZBD43KiGtslBKCRmecO0%2Fimg.png)
[C++] map vs hash_map(unordered_map)
개요 hash_map은 비표준 Container인데 반해(stdext namespace에 포함) unordered_map은 C++11에서 STL 표준 Container로 추가되었으며, (사실 TR1부터 추가되었지만 C++11에서 좀 더 최적화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hash_map과 거의 동일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MSDN의 hash_map 페이지에서도 표준인 unordered_map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므로 이후에는 unordered_map 기준으로 이야기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양이 많은 경우 map 보다 unordered_map은 성능이 더 좋습니다. 알고리즘의 차이로 데이터가 N 개일 때 map 은 O(logN)의 탐색 속도를, unordered_map은 O(1)의 탐색 속도를 각각 갖기 때..
2015 살기 좋은 도시 - 서울 58위
경제분석기관인 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 에서 발표한 '2015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에 따르면 한국에서 유일하게 '서울'이 100점 만점에 84.9점을 얻어 58위에 올랐다.EIU가 매년 발표하는 이 보고서는 안정성, 헬스케어, 문화 및 환경, 교육, 인프라스트럭처 등 5개 부문, 30개 세부항목을 평가해 점수를 산출한 뒤 순위를 매긴다. 서울은 교육부문에서는 100점을 받았지만 안정성 부문에서 75점에 그쳤다. 인프라(89.3), 문화 및 환경(86.3) 헬스케어(83.3) 등도 80점대에 머물렀다. 조사 대상이 총 140개의 도시니까... 서울은 중간에서 조금 위에 위치한다.한국이 IT 인프라가 아무리 좋다고 해도 살기 좋은 곳은 못되나 보다.그래도 교육..